홈 > 신앙생활 > 기도/교리 상식 > 전례
전례는 교회의 의식입니다.
교회가 성서나 성전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공인한 의식으로 개인의 신앙생활과는 구별됩니다.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교회 안에서 그 전례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미사(missa)이며 그 밖에 성사 및 준성사, 성무일도, 성스런 행렬, 성체강복 등이 전례 속에 포함됩니다.
전례는 하느님과 구원되어야 할 인간들과의 결합이며 끊임없는 만남이라는 의미가 강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전례의 주체는 교회입니다. 교회 안에는 하느님의 구원사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가 현존합니다. 미사에서도, 성체형상에도, 사제의 인격 속에도, 말씀 속에도 존재할 뿐 아니라 교회에는 하느님이 현존합니다. 비록 전례가 성직자에 의해 거행되더라도, 그것은 그 속에 현존하는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사제가 수행하는 모든 전례에 있어서 그 권능은 예수 그리스도부터 위임 받은 사항입니다.
전례는 신자 공동체를 위한 의식이고 공동체를 위한 기도입니다. 신자는 이 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하여 비로소 하느님의 구원사업에 동참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가톨릭 대사전)
하느님의 창조에서부터 출발하여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로 완성된 구원의 역사를 믿고 가르치는 교회도 이 세상 속에서 살아가면서 사회의 일반주기 제도를 따르고는 있지만, 이러한 일반주기 속에 그리스도를 통하여 실현된 하느님의 구원 역사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교회 나름대로 여러 항목과 주제별로 일정한 기간을 분배하여 별도의 고유한 주기를 정하여 지내게 되었습니다. COPYRIGHT(C) 2013 BY 천주교 한강성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