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한강성당

로그인

로그인 상태 유지

닫기

성당 대표 메일 안내 office@hankang.or.kr


한강 게시판


> > 함께하는 삶

함께하는 삶

정순오 신부님과 TV 침묵의 크리스마스

작성자  |프란치스 작성일  |2012.12.26 조회수  |3204






http://www.yongsanch.or.kr/yscgi/board.cgi?id=06_data_else&action=view&gul=844&page=1&go_cnt=0 

KBS 성탄특집 다큐 '침묵의 크리스마스'

   KBS 1TV는 성탄특집 다큐멘터리 '침묵의 크리스마스'를 25일 밤 10시에 방송했다.

   아시아 최초의 청각장애인 신부인 박민서 신부를 통해 소통의 의미와 침묵의 행복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세상의 소리를 잃고 진정한 행복을 찾았다"는 박 신부는 2살 때 청력을 잃은 후 들을 수도, 말할 수도 없게 됐지만 침묵의 대화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됐다고 말했다.

  박 신부의 수화(手話)에는 이야기가 있다.

  프로그램은 "판토마임보다 더 재미있는 그의 수화는 수화를 할 수 없는 사람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전한다.

  박 신부는 "서로의 눈을 바라보고 이야기하는 마음의 언어 수화를 통해 세상과 사람을 더 깊게 이해하게 됐다"고 이야기한다.

  또 "소리를 잃었지만 많은 이들과 함께 하며 진정한 행복을 찾았다"고 강조한다.    

        (연합뉴스 보도)

---------------------------------------------

아시아 첫 농아 신부되는 박민서 부제
"농아 신자들에 더 큰사랑 전할 것"

  한국경제 2007-06-26 서화동 기자

 

 

 

  아시아 가톨릭교회 사상 첫 농아(聾啞)사제가 될 박민서 부제(오른쪽)와 그를 사제의 길로 이끈 정순오 신부.박 부제는 "농아 사제의 탄생은 장애인들에게 영광을 주는 일"이라며 "농아인들을 사랑하는 친구가 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 가톨릭교회 사상 첫 농아(聾啞)사제가 될 박민서 부제(오른쪽)와 그를 사제의 길로 이끈 정순오 신부.박 부제는 "농아 사제의 탄생은 장애인들에게 영광을 주는 일"이라며 "농아인들을 사랑하는 친구가 되겠다"고 밝혔다.
  "야,귀머거리! 벙어리! 넌 우리와 달라.네겐 희망이 없다고!"
  중학교 때까지 이렇게 놀림받고 무시당하던 그가 가톨릭 신부가 된다.
  2007년 7월 6일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서울대교구 사제 서품식에서 사제품을 받는 박민서 부제(39)다.
  청각·언어장애인(농아·聾啞) 사제 탄생은 한국은 물론 아시아에서도 처음이다.
  전 세계에서도 미국·영국·뉴질랜드·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의 14명에 불과하다.
  듣지도,말하지도 못하는 불편함을 뛰어넘어 성한 사람도 가기 어려운 사제의 길에 들어선 그를 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만났다.
  그를 사제의 길로 이끈 서울 번동성당 정순오 신부(54)도 자리를 함께해 수화를 통역했다.
  "부모님을 비롯해 제가 사제가 되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주신 분들 덕분에 사제품을 받게 된 것 같습니다.
  저같은 농아인들을 사랑하면서 어렵고 소외된 이들,버림받고 무시받는 사람들과 친구처럼 함께 사는 신부가 되고 싶어요."
  경기도 고양에서 군인의 아들로 태어난 박 부제는 두 살 때 홍역을 앓아 항생제 주사 부작용으로 청력을 상실했다.
  중학교까지 일반 학교에 다니며 놀림을 받아야 했고,고교 과정인 서울농학교 2학년 때 농아인이자 천주교 신자였던 미술학원 원장의 영향으로 천주교에 입문했다.
  사제의 꿈을 꾼 것도 미술학원 원장 덕분이다.
  "원장님이 천주교 사제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셔서 나도 신부가 돼 가난하고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살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농아는 신부가 될 수 없다는 주위 사람들의 말을 듣고 너무나 실망해 다른 길을 갈 생각을 하고 있었죠."
  이 때 만난 사람이 정순오 신부다.
  정 신부는 부모님이 농아자여서 수화에 능통했고,대학 졸업 후 직장을 다니면서도 사제의 꿈을 포기하지 않은 박 부제를 미국에 유학보냈다.
  미국의 농아 사제인 토마스 콜린 신부의 도움도 컸다.
  "오로지 신부가 될 생각만으로 미국에 갔는데 너무 힘들었어요.
  영어를 ABC부터 공부해서 보통 3년씩 걸리는 수화와 작문·독해시험을 1년 만에 통과했죠.그 땐 정 신부님이 학비를 보내주실 때라 돈이 아까워서 더 공부에 매달렸거든요."
  흔히 수화는 만국공통어인 줄 알지만 한국어 수화와 영어 수화는 90% 이상 달라서 새로 배워야 했다.
  또 신학·철학 등의 학문적 개념은 손가락으로 알파벳을 하나하나 표현하는 지화(指話)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공부하는 데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그런데도 그는 농아 종합대학인 갈로뎃대학에서 4년 만에 철학사·수학사 학위를 받고 농아를 위한 신학 과정이 개설된 뉴욕 성요셉신학교에 진학했다.
  "성요셉신학교에선 시간당 50달러씩 하는 수화전문 통역사를 쓸 수 없어 20달러짜리 속기사만 두고 공부해야 했기 때문에 어려움이 컸어요.
  속기록만으로는 강의를 이해하기 힘들었기 때문이죠.그나마 농아 신학과정이 1년 만에 폐지돼 얼마나 절망했던지…."
  콜린 신부의 도움으로 다시 뉴욕의 성요한대학원에 들어간 그는 비로소 수화전문 통역사 두 명과 속기사 한 명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해 2004년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했다.
  이후 가톨릭대 신학대학에서 공부를 계속한 그는 지난해 7월 부제품을 받은 데 이어 다음 달 사제수품을 앞두고 있다.
  "농아인들은 듣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는 이중 장애인입니다.
  그래서 농아인들은 수화통역을 해야 하는 미사보다는 사제가 직접 수화로 미사를 집전해주기를 바라지요.
  그래서 수화를 잘 하고 농아들의 문화를 잘 아는 사제가 필요한 것입니다."
  박 부제는 2007년 7월 8일 번동성당에서 일반 신자를 대상으로 첫 미사를 집전한 뒤  서울가톨릭농아선교회에서 수화(手話) 미사를 처음으로 집전하면서 농아 사제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하게 되었다.

http://blog.naver.com/proweb1?Redirect=Log&logNo=80176858021

 

 

  • 지지매

    KBS 다큐 <침묵의크리스마스>는 KBS 홈페이지 12월 25일자에서 \'다시보기\'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2012-12-29 14:00:48 삭제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659 Parsely 2013.01.14 1114
658 등대 2013.01.10 1204
657 길을 걷다 2012.12.29 1613
656 프란치스 2012.12.26 3204
655 수평선 2012.12.25 1156
654 등대 2012.12.23 1143
653 노아가다 2012.12.20 1091
652 nittany 2012.12.12 2305
651 등대 2012.12.10 1194
650 등대 2012.12.02 1412

하단 정보

[성당 개방시간] 05:30~21:00   [사무실 운영시간] 월 휴무, 화~금 09:00~19:00, 토~일 09:00~20:00, 법정공휴일 휴무

서울 용산구 이촌로81길 38   |   대표전화 02.796.1845 / 02.796.1846   |   혼인성사 안내 02.796.1847   |   팩스 02.790.5017